본문 바로가기

폐차몰

폐차장-자동차 관련업계 종사자들이 말하는 엔진오일 교환주기

 자동차 관련업계 종사자들이 말하

엔진오일 교환주기

 

 

 

 

엔진 오일의 역할은

 

엔진내 실린더 블록과 피스톤등금속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마모를 방지 하는 윤활작용

 

연소가스가 크랭크실 안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작용

 

피스톤 벨브 냉각작용

 

엔진 내부 청소를 합니다.

 

 

 

 

 

 

엔진오일의 종류는 

 

광유 ,반합성, 합성유가 있습니다.

 

광유 : 가장 일반적으로 흔히 있는 저렴한 엔진오일

 

반합성 : 합성 기유를 30~50% 첨가한 오일 (지크가 대표적)

 

합성 엔진오일 : 합성 기유로 제조된 엔진오일

 

 

엔진오일은 원유를 정제한 광유계 기유를

 

원료로 사용합니다.

 

기유가 고온이 되면 타면서 찌꺼기를 남기게 되죠

 

이런 이유로 시간이 지나면 점성이 높아 지고

 

엔진오일을 교환해 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가장 궁금해 하시는

 

 엔진오일의 교환 주기는 어떻게 되느냐?

 

아쉽게도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폐차장에 근무하면서

 

승용차 엔진이 붙어서 폐차를 하는 경우는

 

자주 있는 일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차주분들은 교환주기가

 

5,000Km 라고들 알고 계십니다.

 

(20~30 운전하신분들은 특히나)

 

 

 

습관적으로 5,000Km 엔진오일 교환

 

하시는 분들은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그동안 자동차 기술,

 

오일 정제 기술,

 

도로 포장 상황등

 

많은 발전이 있었으니 말입니다.

 

 

 

주변 카센터, 공업사 사장님들도 대부분

 

7,000Km 이상은 괜찮다고들 하십니다.

 

(10,000Km 이상도 문제 없다는 분도 있긴 합니다만…)

 

일반 적으로 2만킬로 이하 운행 하시는분들은

 

저렴한 광유로 7Km 전후 마다

 

교환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신차의 첫오일 교환은 3,000Km 권장하시니 참고하세요.

 

또한 4,000RPM 이상 RPM 밟는 분이 아니시라면

 

고급 합성유도 가성비가 떨어 진다고 합니다.

 

 

엔진오일등 자동차 소모품 교환주기는

 

운행습관과 차량관리기준이

 

개인마다 편차가 있으므로

 

차량 상태에 따라 판단하시길 바라며

 

과한것이 결코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는

 

것을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이상 폐차장 근무하고 있는 필자가

 

10~25이상 경력의 카센터, 공업사

 

관계자들과 과학적 근거 없이 결정한

 

엔진오일 교환주기 였습니다.

 

 

끝으로 폐차몰에서 알려드리는

 

폐차구비서류 입니다.

 

 

폐차&조기폐차 문의

010-2822-0400